요즘 우리 모두는 불편하다. 이번 추석에는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가족과 친척을 만나고, 선물을 나누고, 추석맞이 문자를 보내면서도 무엇인가 불편했다. 차마 입으로 꺼내지는 않았지만, 불편함은 지난 4월 수학여행을 갔다 돌아오지 못한 그 아이들과 추석을 함께하지 못한 부모들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생긴 것이었으리라. 그래서였을까. 어느 아는 분의 "풍요보다는 궁핍이, 기쁨보다는 아픔이 같이하는 한가위" 라는 카톡 메시지가 이번 추석을 잘 말해주었다.

 불편함에도 종류가 있다. 하나는 싫은 것, 귀찮은 것에 대한 신체의 즉각적인 반응이다. 다른 하나는 미안함에서 연유하는 심리적 반응이다. 그 미안함 때문에 좋은 일에도 마냥 기뻐할 수 없고, 순간 찾아오는 행복감을 누그러뜨리게 된다. 아마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단식농성 등에 동참하지 못하는 미안함을 그 불편함으로 대신했을 것이다. 이는 그리 특별한 일은 아니다. 타인의 '아픔'에 대하여 그간 우리가 가져왔던 인지상정의 사회적 정서였다. 이번 추석은 그래서 더욱 불편하고 미안했다.

 언제부터인지 꼭 집어 들추어낼 수는 없으나, 우리사회에서 '대의적 명분'에 대한 공감도가 떨어진지는 꽤 오래되었다. 정의나 민주 그리고 공익의 명분들이 아무런 울림을 갖지 못하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대신 그 자리를 '진영논리'가 차지하고 있다. 자기편이 아니면, 자기편에 이익이 되지 않으면 어느 대의명분에도 공감하지 않는 냉랭한 세상이 되었다. 이 진영논리 앞에서는 정부와 정당은 물론 언론마저도 예외가 없다.

 그런데 앞선 대의명분에 대한 공감 상실보다 더 크고 심각한 일들이 최근 들어 우리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타인의 아픔에 대한 공감 상실이 바로 그것이다. 내 아픔이 아닌 타인의 아픔은 그저 남의 일일 뿐이다. 이것도 모자라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고 조롱까지 하는 지경이 되었다. 한마디로 타인의 아픔에 대한 무감각, 무통증의 사회가 된 것이다.

 더욱 위험한 것은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지 못하는 인간성 상실을 경계하고 경고해야 할 정치지도자들과 언론들이 오히려 이를 부추기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활성화'를 명분으로 이제는 일상으로 돌아가자고 한다. 그 아픔을 거론하지 말자고 한다. 그 아픔을 빨리 잊어버리자고 강요한다. 국민의 아픔을 어루만져야 할 위치에 있는 높은 사람들일수록 그 정도가 심하다. 그것도 부족하여 일부 언론들은 아예 그 아파하는 사람들과 이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문제집단화'하기 시작했다. 이는 진영논리에 의한 일종의 '차별화' 전략으로 가장 극단의 아픔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추방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분위기가 단식하는 사람들 앞에서 게걸스럽게 먹는 퍼포먼스의 연출을 용납하게 하는 것이다.

 타인의 아픔에 대한 공감은 곧 나의 아픔을 위한 이타적 공감 행위이다. 비슷한 생명체의 무리들끼리 모여 있으면 안정감을 갖게 되는 것을 가리켜 '류적동질성(類的同質性)'이 주는 혜택이라고 한다. 외로울 때 위로해주고, 힘들 때 거들어주고, 아플 때 같이 아파해주는 것이 영장류 인간이 갖고 있는 류적동질성의 핵심이다. 그러함에도 타인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타인의 아픔에 대하여 최소한의 미안함과 불편함도 갖지 않는 것, 이는 인간으로서의 류적동질성을 우리 스스로가 파괴하는 일이다. 인간성의 상실은 곧 '광기의 시대'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타인의 아픔에 대한 공감 상실 즉 '무통증'의 인간을 양산하고 있는 듯한 지금의 우리사회가 진짜 두려운 이유이다.

*본 칼럼은 한라일보 월요논단(2014.9.15)에 실린 내용입니다.

저작권자 © 제주대언론홍보학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