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5128 이원진 기자>

<2016102132 현은정 기자>

1883년 10월 30일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 ‘한성순보’가 창간된 이래, 최초의 근대 민간신문 ‘독립신문’, ‘매일신문’, ‘황성신문’, ‘제국신문’ 등이 잇달아 창간됐다. 1919년 3․ 1운동 이후 총독부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의 발행을 허용했다. 하지만 1937년 중․ 일 전쟁 이후 총독부의 언론 통제는 더욱 강화됐고, 결국 1940년 8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총독부에 의해 폐간됐다.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더불어, 신문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해방 직후 신문 발행 허가제가 등록제로 바뀌었다. 이 시기의 신문은 좌․우익으로 갈라져, 정파의 기간 지적 성격을 띠었다. 1945년 11월 23일 ‘조선일보’가 재창간됐다. 이후, ‘동아일보’도 재창간됐다.

5․16 군사정변 직후 박정희 정부는 언론 통제를 하였는데, 이로 인해 신문사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박정희 정부는 정치적, 법적 언론 통제를 하는 한편, 몇 언론기업에 여러 가지 경제적 혜택을 줬다. 또한, 이 당시 급속한 경제성장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신문사들은 점차 기업화되기 시작했다. 신문사들은 각자의 보급소에 신문 보급 강제 할당제를 요구했다. 이에 1965년 한국 기자협회는 각 신문사에 강제 할당제 철회를 요구했고, 신문협회 또한 영업 정화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이를 철회하는 데 힘썼다.

1970년대 신문협회는 중앙종합일간지 판매국장 판매협의회를 발족했으며, 지방 공동수송제를 채택했다. 신문협회는 1977년 8월 20일에 신문판매 정상화를 위한 결의문을 공포하였는데, 결의문에는 무가지 배포 중지, 구독할인 중지, 경품제공 금지 등과 같은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열 판매 경쟁은 여전했다.

1980년대 정부에 의한 언론 탄압은 더욱 심해졌다. 전두환 정부의 언론 통폐합 조치로 인해 신문사들은 강제로 통합됐다. 그 결과, 신문사 수가 제한되며 소수의 신문사가 독점체제를 이뤘다. 이에 1981년 4월 1일에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됐다. 그리고 신문협회는 1984년 11월 19일, 신문협회 결의 사항을 근거로 이를 위반하는 신문사에 대한 제재를 결정했다. 제재 중 가장 무거운 것은 지방 공동발송 제외였다.

그 후 1988년, 신문협회는 면수 구독료 등 자율 경쟁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면수 8~16면 4종, 구독료 6단계). 이로 인해, ‘한겨레신문’을 비롯한 새로운 신문들이 많이 창간됐다. 자율경쟁으로 인해, 신문사들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심지어 1990년 7월, 처음으로 ‘신문전쟁’이라는 용어가 나타날 정도였다. 1994년에는 신문사들이 각종 캠페인과 경품행사를 열고 TV, 라디오 등을 이용한 광고도 치열히 행했다. 이외에도, 과도한 속보 경쟁, 각 신문사의 오보 및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서로 간의 경쟁은 치열해졌다. 2002년, 경향, 한겨레, 문화, 경일일보를 중심으로 공동배달제가 구체화됐으며, 2005년 11월 8일 신문유통원이 설립됐다. 광화문 직영 공동배달센터를 기점으로 662개소 공동배달센터가 운영됐다. 하지만, 현재 공동배달센터는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있으며, 개인 신문보급소들이 여러 신문사를 맡아서 신문을 보급하고 있다.

 

신문의 유통과정과 수익구조

초기 기획 단계부터 시작해 기자들의 피땀 어린 취재를 거치고 수많은 활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기사는 데스크의 편집 과정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 완성된 기사는 윤전기를 통해 지면에 인쇄되며 완전한 신문으로 거듭난다. 일간지는 조간 기준으로 9시에서 10시쯤 지방판이 유통되고, 11시에서 11시 반쯤 서울 시내판이 배포된다. 제주도의 경우 항공으로 배달하거나, 그보다 유료 독자 부수가 못 미칠 경우 지역 언론사 윤전공장에 신문을 위탁해 찍는다.

이 과정을 거쳐 신문이 만들어지면 신문사는 각 보급소로 신문을 배달한다. 신문사에서 배급받은 신문을 구독자의 집까지 안전하게 배달하는 것은 보급소의 몫이다. 각 보급소는 신문과 함께 배달된 전단지를 신문에 하나씩 끼우고 매일 같은 시간에 신문을 배달한다.

보급소는 각 신문사로부터 신문을 받으면서 일정의 용지 대를 지불한다. 신문 한 부수당 한 달에 2000~2500원 정도를 낸다. 이렇게 구입한 신문을 독자들에게 배달하면 보급소는 그 배달지역 구독자들에게 구독료를 받는다. 신문사의 주 수입원은 광고료지만, 보급소는 이런 구독료를 통해 운영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제주대언론홍보학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